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포스트 모더니즘 디자인 02
    디자인 2023. 6. 14. 02:39
    반응형

    '총체화의'체계들 속에서 예외 없이 두루 적용되는 가치들이나 해석들 속에서, 포스트 모던 사상가들이 절대적인 것을 믿는다는 건 이제 불가능하다. 포스트 모던 문화의 산물들은 모더니즘의 작업들과 비슷해보이기도하지만 그것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매우 다르다. 모더니즘이 유토피아적인 사상, 즉 더 나은 세계를 목적했다면, 포스트 모더니즘은 세계를 그 자체로 받아드리는 것이다. 인간을 위한 최선의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 과정에서 초월적인 관점과 대량생산, 소비를 전제로 한 문화에 대해 공격을 감행하던 시점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은 지배적은 문화와 공모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 사이에 놓인 위계적 차별은 무너지고, 같은 등위에서 동등한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치부한다. 관습적이던 경계들은 무너지고 새로운 변종이 탄생하며, 그러한 변화는 디자인에서도 관찰된다. 이는 자기표현적인 예술의 형태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결과는 분열, 불순함, 깊이 없음, 불확정성, 다원론, 절충주의, 토착성의 회귀 등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더불어 그 자체의 해석에 있어서도 개방적이게 된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도전적인 정신은 모더니스트 시인 T.S 엘리엇이 한 말을 관통한다.

     

    "여러분이 규범들을 어떻게 지키는지를 알기 전에 그것을 저버리는 건 현명하지 못한 처사입니다"

     

    누군가 규범을 꺠고자 한다면 그는 먼저 그 원리를 알고 있어야 한다. 디자인은 모더니즘의 산물임을 부정할 수 없다. 규칙을 알고 깨드릴때 비로소 그것을 비평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어떤 것이든 의사소통의 방식으로 부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의 디자이너들에게 지면 위의 규범들과 타이포그래피 기교는 어느덧 그것을 언제 어떻게 깨드려야 함을 아는게 곧 디자인 창작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다. 하지만 이는 500년 인쇄 역사가 제공한 필수적인 체제의 결과물이다. 미국 디자이너 밥 길은 그의 디자인에 대한 생각을 단 몇 문장으로 요약했다.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모든 규칙들을 잊어버리십시오. 이 책에 포함된 것들도 아울러서 말입니다."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전문적인 디자인의 규칙을 우선적으로는 흡수하고 곧바로 그에 맞서며 초월하기를 바라왔다.

    반응형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시대의 그래픽디자이너  (0) 2023.06.23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03  (0) 2023.06.20
    디자인 책추천 만화의 이해  (0) 2023.06.16
    디자인 키워드 1~7  (0) 2023.06.12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01  (0) 2023.06.12
Designed by Tistory.